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용어정리

예금과 적금의 차이점

대학생이나 사회초년생이라면, 투자보다 저축에 더 관심이 많을 것입니다.

저축이라 하면 기본적으로 예금과 적금을 생각하게 되는데,

둘이 같은 표현인 것 같고 헷갈릴 수 있습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무슨 차이가 있을지 고민할 수 있어요.

 

비슷한 것 같지만 확실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

예금과 적금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금

 

예금이란 금융기관이나 은행에 돈을 맡기는 행위입니다.

보통예금, 저축예금 그리고 정기예금으로 나눠집니다.

보통예금, 저축예금은 ATM기에서 돈을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급여가 들어오고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것 말이죠.

 

하지만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저축 개념의 예금은 

'정기예금'이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정기예금은 이자를 주는 저축상품인데,

목돈이 생기면 은행에 가지고 와서 일정 금액을 맡겨놓고

만기가 되면 이 금액과 거기에 붙은 이자를 한꺼번에 가져가는 거예요.

깔끔하게 원금 이자를 가져가는 거죠.

그렇다면 적금은 무엇일까요?

 

 

 

적금

 

우리가 1년짜리 적금을 들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럼 1년 동안 자유적으로 혹은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을 계속 넣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금액에 맞춰서 이자가 붙는 거죠.

1년 만기가 되면 내가 낸 금액들을 모두 합한 것과  

그때그때 붙었던 이자들을 정산해서 가져갈 수 있습니다.

 

 

즉 예금과 적금의 차이점은 방식의 차이일 뿐입니다.

대신 예금은 앞서 말했듯이 '한 번에' 돈을 맡기고 '원금 이자'를 가져가니까

100만 원이고 1000만 원이고 큰 목돈이 생겼을 때 주로 이용해요.

 

이 금액을 은행에 안전하게 넣어두고, 이자를 받을 생각을 하는 거죠.

이때 약정기간 동안 은행에게 빌려주고 은행이 원하는 대로 쓸 수 있게 하는 대가로

나중에 이자 붙여서 돌려달라는 계약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적금은 차곡차곡 돈을 쌓는 거니까, 

주로 소액 (10만 원이든 30만 원이든)으로 일정 금액을 모으기 위해 넣는 통장입니다.

 

만약 예금과 적금이 이자를 똑같이 주며 금리가 똑같다고 가정하면, 

예금이 이자를 많이 받습니다.

왜?

 

1200만 원 목돈을 예금에 한 번에 넣으면 1200만 원에 이자를 곱해서 원금+이자를 받지만, 

적금 같은 경우에는 매달 100만 원씩 넣어서 1200만 원을 만들면

처음에 100만 원부터 시작했으니, 이자가 당연히 더 적겠죠?

 

물론 적금이율이 조금 더 높은 편이지만

그 이율이 높아봤자 예금보다 이자를 많이 못 받아가는 편입니다.

 

예금 적금 모두 대부분 중간에 해지를 못한다는 특징이 있고,

만약 해지하면 입출금 통장 정도의 이자밖에 받지 못합니다.

거의 없다는 뜻이죠.

 

 

 

예금과 적금 차이점을 알아봤는데, 

그렇다면 둘 중에 자신에게 맞는 방식은 어떤 것일까요?

그 추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개개인마다 처한 상황(프리랜서/직장인), 각자의 나이 때, 예산 기준으로 선택지가 많겠지만

주로 사회초년생이나 대학생들에게는 적금을 추천합니다.

예금은 앞서 말했듯이 '목돈'이 필요한 부분이니까,

예금 전에 그 목돈을 마련하는 적금을 선행하는 걸 추천하고 있습니다.

차곡차곡 내 돈을 모아서 그 목돈으로 예금을 가입하든지,

다른 ELS, 채권, 펀드상품 등 재테크를 하든지 할 수 있어요.

 

 

적금 같은 경우에도 상품이 모두 다르니까,

각자가 잘 공부하고 추천을 받아서 자신에게 맞는 상품을 가입하는 게 중요합니다.

'경제상식 > 용어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스완 효과  (0) 2020.06.11
윔블던효과 의미  (0) 2020.06.08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이점  (0) 2020.06.04
세계경제대공황과 뉴딜정책  (0) 2020.06.03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의미  (0) 2020.06.02